최근 들어 더욱 이슈가 되고 있는 오픈 액세스, 국외 저널의 높은 구독료와 감당안되는 인상률, 도서관의 재정적 한계, 학술논문의 상업적 활용는 심각한 문제이다. 국가 차원에서 오픈 액세스 운동이 벌어지기도 하는데 주요 뉴스는 다음과 같다.
https://www.hani.co.kr/arti/culture/book/999897.html
“국가 차원에서 ‘오픈액세스’ 의무화해야”
국가 오픈액세스 정책 포럼한국연구재단 등 포럼…정책 검토 본격화구독료의 논문출판비용 전환이 핵심 지렛대인문사회 분야에는 한국적 상황 검토 필요
www.hani.co.kr
http://www.sn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760
오픈액세스 운동과 오픈액세스 저널은 무엇인가? - 대학신문
몇 주 전 새 정부의 장관 후보자 하나가 청문회 과정에서 고등학생인 딸이 다수의 논문을 실은 해외 학술지를 간단한 투고 절차만 거치면 바로 게재가 되는 ‘오픈액세스 저널’이라고 불러 학
www.snunews.com
대학도서관 진흥종합 계획(2019-2023)에서도 오픈 액세스와 관련된 과제가 제시되어 있다.

이번 챕터에서는 오픈액세스의 개념, 유형, 주제별 OA 플랫폼에 대해 보자.
오픈 액세스(Open Access)의 개념
이용자가 학술정보를 온라인을 통해 무료로 접근할 수 있고, 합법적으로 다운로드, 복제, 인쇄, 검색 등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재정적, 법률적, 기술적 장벽을 없앤 학술정보 유통 모형
* 오픈액세스의 목적: 학위논문,학술논문 등의 접근성을 확대하고, 이를 통해 연구를 촉진하고 교육을 풍부하게 함
오픈 액세스 유형
![]() |
Glod OA - 오픈 액세스 저널에 논문을 출판하여 누구나 해당 논문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함 - 오픈 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
![]() |
Green OA 저자가 공개된 리포지터리, 아카이브 등에 자신에 논문을 셀프 아카이빙하여 누구나 해당 논문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함. -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에 올린 논문 |
학술논문 생산, 출판, 활용의 전체 출판 사이클

* 국가 오픈 액세스 플랫폼 사이트 바로가기: https://accesson.kisti.re.kr/main/main.do
AccessON
MEMBERSHIP AccessON에 통합회원 가입하면, 오픈액세스 논문을 더욱 편리하게 활용하고 귀하의 논문을 AccessON에 공유할 수도 있습니다. AccessON 통합회원 가입
accesson.kisti.re.kr
오픈 액세스 학술지
이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학술 문헌에 무료로 접근하고 특별한 허가 절차 없이도 재사용이 가능한 학술지를 의미함. 오픈 액세스를 전담하는 차세대 학술지를 비롯해 오픈 액세스로의 전환을 선택하는 기존의 학술지 모두 포함.
오픈 액세스 학술지 특징
| 구분 | 오픈 액세스 학술지 | 구독 학술지 |
| 동료 평가 | 존재 | 존재 |
| 출판 비용 | 저자측에서 지불 | 출판사가 지불 |
| 저작권 | 저자 소유 | 출판사 소유 |
| 배포/복사/번역/제출판 | 가능(CC BY 라이선스) | 추가 비용 발생 |
| 이용 권한 | 누구나 이용 가능 | 학술지 구독 기관이용자, 구독자 |
오픈 액세스 학술지 종류
| 구분 | 내용 |
| Full OA Journal | 이용자가 제한 없이 모든 수록 논문을 이용할 수 있는 학술지 이용자는 구독료가 없고 출판사는 저자게에 APC*를 부과하여 수입을 얻음 |
| Hybrid OA Journal | 출판사가 기존 구독 방식으로 학술지를 출판하지만 저자가 APC를 지불한 특정 논문에 한하여 오픈 액세스를 허용하는 경우 |
| Bronze OA Journal | 출판사 사이트에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나, 논문의 자유로운 재사용 등에 대한 라이선스는 없는 경우 출판사가 특별한 프로모션이나 일정 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는 경우 대다수의 오픈 액세스 방식임 |
* APC(Article Processing Charge): 논문 투고, 편집, 동료평가ㅏ 등에 소요되는 출판비용을 의미함
- 오픈 액세스 논문은 연구과제비, 연구기금 지원기관, 소속기관, 개인 저자가 APC 지불
오픈 액세스 학술지 및 OA 포털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
- 기관 또는 주제 단위에서 오픈 액세스 연구 업적물을 수집, 관리, 검색 및 아카이빙
- 기관의 리포지터리는 기관 연구정보시스템과 연동
연구자, 대학도서관 사서라면 오픈 액세스에 대해 잘 살펴보고, 다양한 OA 플랫폼, 학술지, 리포지터리를 발굴하는 것이 필요하다.
참고사이트
과기원 도서관
https://starlibrary.org/open-access
STAR Library
STAR Library
starlibrary.org
아주대 도서관
https://ajou.libguides.com/open_access/oa
Research Guides: OA: 오픈 액세스
Research Guides: OA: 오픈 액세스
ajou.libguides.com
부산대 도서관
https://lib.pusan.ac.kr/guide/1530
[오픈 액세스 #1] 오픈 액세스란? – SAM 학술정보가이드
오픈 액세스는 “학술정보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과 이용”이라는 개념으로 인터넷을 통해 누구나 어디서든지 각종 연구성과물들을 출판과 동시에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적 운
lib.pusan.ac.kr
유니스트 도서관
https://library.unist.ac.kr/research/oa/#OPENACCESS_KO
오픈액세스 출판 지원 – UNIST Library
오픈액세스 출판 지원 유니스트 소속 저자들의 오픈액세스 저널 출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아래 저널에 오픈액세스 논문 투고 시 논문출판비용(APC, Article Processing Charges)을 할인받을 수 있습니
library.unist.ac.kr
한국과학기술정보원 오픈액세스 가이드북
https://acoms.kisti.re.kr/images/pdf/ACOMS_open_access_guide_20191125_link.pdf
'주제별 학술자원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KSDC - 온라인 설문조사 / 통계분석 솔루션 (0) | 2022.11.20 |
|---|---|
| S2 Journal - 학술지 종합 정보 플랫폼 (0) | 2022.11.09 |
| WGSN - 예술분야 DB: 패션, 마케팅 필수 도구 (0) | 2022.10.22 |
| 연구윤리 가이드(2) - 의심 학술지, 부실학회(가짜학회) (0) | 2022.10.12 |
| 연구윤리 가이드(1) - 연구윤리 개념 및 표절 검사 도구(CopyKiller) (0) | 2022.10.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