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도서관 이야기/대학도서관 동향

대학도서관 최신동향 - 연구성과 관리 플랫폼

by 도서면 사서리 2022. 9. 18.

최근 대학도서관 서비스에서, "연구지원"이라는 키워드가 강조되고 있다. 앞서 대학도서관 최신동향-연구지원이라는 살펴보았지만, 큰 틀에서 연구지원이라는 큰 틀 안에서 연구성과 관리는 대학의 경쟁력을 높이는 차원에서 대학도서관의 중요한 역할이라고 볼 수 있다.

 

지난 챕터의 대학도서관 최신동향 -연구지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https://librarianlee.tistory.com/5?category=960101  

 

대학도서관 최신동향 - 연구지원

대학도서관의 최신 동향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대학도서관이 추구하는 바를 알아야 한다. 교육부가 제시한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 5개년(2019-2023)에서 대학도서관의 역할은 교육과 연구라고

librarianlee.tistory.com

 

그럼 이번 챕터에서는 대학의 연구성과 관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학의 설립 목적은 학부생들에게 학문을 가르치는 "교육" 기관이며, 동시에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연구"를 하는 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학도서관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성과물 - 석박사 학위논문. 연구논문, 저서, 학술대회 발표자료 등 에 대해 체계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교육부의 대학도서관 진흥종합계획에서 <연구큐레이션 서비스>는 연구성과물 관리에 대해 잘 정리해주고 있다.

 

기존의 대학에서 발간하는 석박사 학위논문은 dCollection이라는 플랫폼을 통해 구축되고, RISS와 연동되어 국내 대학도서관에서는 논문을 공유하고 있다. 하지만 이외에 교원의 연구업적물(논문, 발표대회 논문, 저역서 등)을 관리하는 플랫폼은 별도의 플랫폼을 통해 기관리포지터리를 실현하고 있다.

 

아래에는 연구성과 분석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 플랫폼이다.

제공 데이터베이스 내용 이용 기관
ScholarWorks
(S2RIMS)
기관의 연구정보(논문, 학술활동, 저역서)를 수집·축적 시스템
숙명여대, 중앙대, 홍익대, 숭실대, 한양대, 금오공대
Naver Scholytics 연구 및 연구자 분석, 연구동향/연구전략 수립을 위한 각종 데이터를 제공 성균관대, 동국대
DSpace
(https://dspace.lyrasis.org/)
- 미국 MIT와 HP 사가 공동으로 개발한 Open Access Self Archivng 시스템
- 국립중앙도서관 OA 기관리포지터리 시스템
(매년 기관별 공모를 통해 구축 지원)
서울대, 유니스트, 포항공대
부경대, 울산대, 이화여대
* 국립중앙도서관 OAK 리포지터리 보급기관
incites(Clarivate) Web of Scinece 기반 저널 성과 비교, 분석 DB  
SciVal(Elsevier) Scopus 기반 연구성과 분석 솔루션  

 

각 대학도서관에서는  교원의 연구업적물(논문, 발표대회 논문, 저역서 등)을 체계적으로 수집하는 것을 넘어 등재(Web of Science / SCOPUS / KCI) 정보와 연동하고, 피인용도 정보를 함께 분석하여 연구자별 profile을 구축하고, 각 단과대별, 학문별로 연구성과를 분석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도서관 S-Space

위의 사례는 서울대 도서관의 S-Space 사례이다. 주제분야별, 저자별로 연구성과가 제공되며 연구성과가 높은 연구자(높은 피인용도, 높은 연구논문 생산 등)를 살펴볼 수 있다.

 

포항공대 도서관 연구성과 기관리포지터리

포항공대 도서관은 국립중앙도서관 OA 기관리포지터리 보급 공모를 통해 구축되었으며, 연구업적물을 수집, 축적과 주요 연구성과를 안내하여 소속기관 연구자들의 맞춤형 연구지원을 실현하고 있다.

 

* 2022년 국립중앙도서관 OA 기관리포지터리 보급 공모는 4월 경에 실시되었으며, 매년 해당 기관을 공모받고 있다.

 

2022년 OAK 리포지터리 보급 공모 계획.hwp
0.28MB

 

 

OAK 리포지터리 보급 및 운영기관 목록.xlsx
0.01MB

 

 

홍익대 도서관 ScholarWorks

홍익대 도서관에서도 ScholarWorks 플랫폼을 통해 전임교원의 연구성과물을 수집, 축적하고 있으며 학술지 등재정보(SCI급 저널)을 연동하여 기관리포지터리를 실현하고 있다.

 

교육부의 대학도서관 진흥종합계획에서 제시된 것 처럼 기존의 연구성과를 수집, 축적하는 것을 넘어 연구 성과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고, 기관 내 연구성과를 학문분야별로 비교/분석, 타 기관과의 비교분석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연구자 profile의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은 교원 평가에도 반영할 수 있으며, 나아가 맞춤형 연구지원 제공을 지원할 수 있다.

 

이번 시간에 살펴본 다양한 연구성과 관리 플랫폼은 각 대학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살펴볼 수 있으며, 대학도서관의 기대되는 역할과도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대학도서관은 연구업적물을 수집, 관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제공하여  맞춤형 연구지원을 제공하는 기관이라는 것과 연구성과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질 수록 도서관의 역할이 중요시 된다는 점이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댓글